집의 인상을 결정하는 한옥 지붕
하나, 갤러리-마루에 누워 올려다 본 한옥의 천장
누워서 보는 풍경 - 차장섭
현수곡선을 중심으로 곡의 아름다움을 뽐내는 기와지붕의 안은 지붕을 받치는 도리와 보, 서까래로 이루어져 있다. 큰 곡선으로 이루어진 지붕의 외형과는 달리 그 안의 나무 구조물들은 직선으로 줄을 세운 듯 보인다. 하지만 자연나무를 그대로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빚어낸 모습들은 인위적인 직선과는 다른 조형미를 보여준다.
마루에 누워 지붕 아래 감춰진 한옥의 또 다른 아름다움을 찾아보자.

<안동 하회 원지정사>

<서울 북촌 백상정사>2018, pigment print,100x60cm

<증평 연병호 생가>2017, pigment print,100x60cm

<제주도 조천 민가>,2019, pigment print,60x50cm

<영남대 민속촌 초가집>2018, pigment print,80x60cm
차장섭 작가의 ‘한옥의 천장-누워서 보는 풍경’이 담긴 월간한옥 23호를 주문해보세요.
집의 인상을 결정하는 한옥 지붕
하나, 갤러리-마루에 누워 올려다 본 한옥의 천장
누워서 보는 풍경 - 차장섭
현수곡선을 중심으로 곡의 아름다움을 뽐내는 기와지붕의 안은 지붕을 받치는 도리와 보, 서까래로 이루어져 있다. 큰 곡선으로 이루어진 지붕의 외형과는 달리 그 안의 나무 구조물들은 직선으로 줄을 세운 듯 보인다. 하지만 자연나무를 그대로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빚어낸 모습들은 인위적인 직선과는 다른 조형미를 보여준다.
마루에 누워 지붕 아래 감춰진 한옥의 또 다른 아름다움을 찾아보자.
<안동 하회 원지정사>
<서울 북촌 백상정사>2018, pigment print,100x60cm
<증평 연병호 생가>2017, pigment print,100x60cm
<제주도 조천 민가>,2019, pigment print,60x50cm
<영남대 민속촌 초가집>2018, pigment print,80x60cm
차장섭 작가의 ‘한옥의 천장-누워서 보는 풍경’이 담긴 월간한옥 23호를 주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