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의 멋]대들보

조회수 9079

대청마루 전체를 세로로 지붕을 떠받는 대들보는 외형의 크기만큼 이나 듬직하게 집을 상징하는 형상으로 자리하고 있다.

마당에서 기단을 올라 대청을 바라보면 가장 눈에 띄는 대들보는 왼쪽에 보이는 안방의 대보와 툇보 그리고 상부의 종보를 모두 합해 놓은 듯하고, 집 전체를 나타내는 상징처럼 느껴진다. 집안의 대들보라는 말로 함축해 지칭하는 상징성이 한옥에서 그 정점에 자리하고 있음을 말 하는 것처럼.

지붕을 바라보며 누운 대들보의 위치는 나무가 자랄 때 살던 방향을 가늠해 북쪽을 말구(나무가 자랄 때 땅쪽)로 원구(나무가 자랄 때 하늘쪽)는 마당이 있는 남쪽으로 배치했다. 이백년이라는 긴 시공의 흐름에도 이 자리에서 집 구조의 대들보 역할을 하는 것은 나무 본연의 품성과 도편수의 배치에 안목이 있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안방과 건너방에 자리한 대들보와 툇보 그리고 동자주 위에 얹어진 종보가 떠받는 종도리를 대청에서는 이 대들보가 직접 받치고 있으니, 마루의 넓직한 공간은 대청 대들보의 역할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는 기둥을 없애고 수평의 공간적 확연만을 만든 것이 아니라 수직으로 보이는 천정의 영역을 넓히는 역할까지도 하고 있다. 즉 조견당 대청의 휘인 대들보는 수직, 수평의 공간적 확대에 있어 구조상의 핵심적 역할과 함께 의장의 상징성을 더하고 있다.

등허리가 하늘로 휘인 대들보 곡선은 등마루 언덕의 고개 처럼 눈에 익은 선의 물결을 띄고 있다. 아마도 목수의 손이 가다듬은 곡을 만들고 그 선이 익숙한 곡선이 된듯하다.

한자를 넘는 두툼한 대청의 대들보가 무겁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목수의 손길이 또 다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 일반적인 조선시대의 대들보처럼 가공하지 않은 조견당은 우물마루로 향해 움푹들어간 보의 아랫면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고려시대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항아리보 형식으로 아래면을 가공해, 보아지 폭의 세네치 너비 길을 만들어 아래에서 바라볼 때는 반듯하게 정렬돼 있고, 단면으로 볼때는 항아리처럼 밑둥이 좁게 돼있다. 한발자국 떨어져 볼 때는 자연곡이 반듯한 시각적 효과를 내며 큰 대들보가 무겁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다. 고래 등줄기 같은 대들보 상면 곡과 하부에서는 좁은 너비로 모아 반듯하게 정돈된 길의 조화가 대청마루 위에서 물길을 가르고 움트는 고래의 형상을 느끼게 하는 이유이다.

또 기둥이 대들보를 받는 보아지의 초각에서 이 집의 기품과 성향 그리고 목수의 정성을 가늠할 수 있었다. 고래의등 처럼 휜 대들보를 받고 기둥과 조화를 이루게 하는 보아지 역할은 구조적 의미의 중요성과 의장적 상징에서 그 본연의 역할보다 더욱 빛을 발하고 있었다. 마치 파도를 형상화한 듯 단단하며 기품 있는 조각의 균형은 당시 집주인의 위세를 상상하게 만드는 무게감과 조형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어쩌면 흥선대원군의 운현궁에서도 느껴보지 못했던 저 단순하고 기운차게 형상화한 초각은 기나긴 세월의 흐름에도 이곳이 존재하는 상징처럼 느껴진다. 내게 조견당 대청마루의 대들보와 이를 받치는 보아지는 단단한 파도를 가르는 고래의 움틈처럼 남성적 상징과 절재의 균형감을 아름답게 그려낸 한 폭의 수묵화 같다.